코로나19 이후 물가 상승의 충격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1.4배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생필품이나 식료품, 건강 관련 제품의 수요가 늘어난 데다 이 품목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21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코로나 이전(2018~2019)과 이후(2020~2021)의 체감물가 변화를 소득 분위별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 소비항목별 물가지수 통계를 활용했다.
체감물가상승률은 소득이 낮을수록 높았다. 1분위는 2.7%, 2분위 2.4%, 3분위 2.2%, 4분위 2.1%, 5분위 1.9%로 평균은 2.1%였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체감물가상승률은 상위 20%인 5분위 체감물가상승률의 1.4배에 달했다.
한경연은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소득 1분위의 경우 ▲식료품·비주류음료(22.3%) ▲주거·수도·광열(19.6%) ▲보건(13.3%) 등 생필품이나 건강 관련 품목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았다. 5분위는 ▲교통(14.3%) ▲음식·숙박(13.3%) ▲식료품·비주류음료(13.3%) 등 식료품 외에도 교통, 외식의 지출 비중이 높았다.
1분위 지출 비중이 5분위보다 높은 상위 3개 품목은 ▲주거·수도·광열 ▲식료품 ▲보건 등으로 물가가 평균 3.7% 상승했다. 각 항목의 지출 비중 격차는 10.9%p, 9.1%p, 5.3%p였다.
하지만 5분위 지출 비중이 1분위보다 높은 상위 3개 항목인 ▲교육 ▲교통 ▲음식과 숙박 항목의 물가는 평균 0.7% 오르는 데 그쳤다. 교육 부문에서는 1분위와 5분위의 지출 비중 격차가 8.5%p, 교통은 7.0%p, 음식과 숙박은 2.9%p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물가 상승 충격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있다며”며 “저소득층에 일자리를 얻을 기회를 확대해 소득을 늘리고, 농산물 수급 안정과 식료품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가격 상승폭을 최소화하는 등 저소득층의 물가부담을 덜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지은 더나은미래 기자 bloomy@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