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탄발전소 오염물질로 인한 조기 사망자가 지난 30년간 최대 1만3000명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기후 전문가 네트워크인 기후미디어허브에 따르면, 대기오염 국제 연구 기관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는 최근 1983년부터 2054년까지 한국 석탄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국민 건강 피해와 그에 따른 비용을 분석한 ‘한국 전력의 석탄 의존에 따른 건강과 경제적 비용’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난 1983년부터 지난해까지 조기 사망자 수를 1만3000명으로 분석했고, 2054년까지는 그 수가 최대 3만50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연구팀은 분석 기점을 500메가와트 이상 규모의 석탄발전소가 가동하기 시작한 1983년으로 잡고, 현재 국내에 추가로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7기의 가동 중단 시점인 2054년을 분석 끝 지점으로 잡았다. 또 석탄발전소 대기오염물질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초미세먼지(PM2.5) 등에 대기확산모델과 화학수송모델을 적용해 오염물질의 대기 중 확산과 화학변화를 분석했다.
연구에 따르면, 조기 사망의 주된 원인은 심장 질환으로 가장 많은 비중인 30%를 차지했다. 이어 하부 호흡기 감염(11%), 폐질환(8%) 순이었다.
보고서에서는 1983년부터 2054년까지 건강 피해 등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최대 58조1152억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석탄발전소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 장애, 조기사망, 응급실 내원, 결근 등으로 발생한 질병 관리와 복지 비용, 노동생산성 감소 등을 고려한 결과다.
연구 공동저자인 라우리 뮐비르따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 선임 분석가는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의 석탄 투자로 인해 치러야 할 대가를 보여준다”며 “1983년부터 지난 40여년간 석탄발전소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질병 관리와 복지 등에 17조8000억원가량의 비용을 썼고, 석탄발전소를 계속해서 가동할 경우 앞으로 그 비용은 훨씬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조기 사망자 수와 그로 인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빠르게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지강 더나은미래 기자 river@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