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최부장의 CSR 스토리] 신남방국가와 CSR 전략(上)

최재호 현대자동차그룹 사회문화팀 책임매니저

신남방국가는 아세안 10개국(6억 4000만명)과 인도(13억명)를 아우르는 인구 20억명 규모의 초대형 신흥시장이다. 인구 수로는 중국을 뛰어넘는다. 신남방국가의 평균 연령은 30세 정도로, 매우 젊고 역동적인 지역이다. 2030년까지 연평균 6%의 경제성장률이 기대되는 차세대 생산기지이자 소비시장으로서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정부는 2017년 11월 9일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신남방정책을 공식 천명했다. 사람(People)·평화(Peace)·상생번영(Prosperity) 공동체를 이루자는 이른바 ‘3P’를 핵심으로 하는 개념으로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수준을 높여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주변 4강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이런 정부 정책에 부합해 코이카는 지난해 5월 코이카의 ODA 비전 발표에서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ODA 규모를 매년 20% 이상 확대하고 국내외 파트너와의 연계·협업을 강화해 통합적, 효과적, 효율적 ODA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고등교육, 농촌개발, ICT, 도시개발, 교통 등 5개 분야를 집중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신남방국가는 지난 30년간 일본과 화교 자본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곳이었다. 한국은 신남방국가에 대한 지식과 인적 네트워크, 영향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신남방국가의 특성과 사회문제, 그리고 이런 신남방 국가의 CSR 사례와 전략 대해 상·하편으로 나눠 소개하고자 한다.

신남방국가 중 인도네시아(2억 7000만명), 베트남(9600만명), 필리핀(1억1000만명), 태국(6700만명)은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중견 국가다. 4개 국가의 인구는 5억 4000만명에 달하며 그 규모는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3위이다. 정치·역사적으로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와 일본의 식민지였고 베트남은 프랑스와 일본의 식민지였다. 필리핀은 스페인, 미국, 일본의 식민지였다. 오직 태국만 유일하게 식민지의 경험이 없다. 종교적으로도 인도네시아는 이슬람(87%), 베트남은 무교(81%), 필리핀은 가톨릭(81%), 태국은 불교(95%) 등으로 다양하다. 이 지역들은 1950년 이후부터 친일본적 인적·사회적 자본 인프라가 구축됐다. 특히 1980년 ‘플라자 합의’ 이후 엔고 현상으로 수많은 일본의 기업들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해 이곳을 생산기지화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정부(자이카)가 막대한 규모의 ODA 지원을 했다. 도요타 재단, 사사카와 재단(일본재단) 등을 통한 지속적인 CSR 활동으로 친일본적인 사회분위기가 형성됐다.

이들 동남아 4개국의 특징을 살펴보면, 경제적으로 국영기업과 다국적기업이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또 중견 국가의 특성상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미래산업 육성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미래산업 정책으로는 필리핀의 국가적 SOC 확충을 위한 ‘Build Build Build 정책’, 인도네시아 정보통신 육성을 위한 ‘메이킹 인도네시아 정책’, 태국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태국 4.0 정책’ 등이 있다.

사회·문화적으로는 청년과 중산층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20~64세 노동 가능 인구가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다문화·다종족·다종교 문화로 관용(Tolerance)의 정서가 보편적으로 퍼져 있으나, 인종·종교 갈등이 내재돼 있기도 하다. 글로벌 문화에 대한 개방성이 강한 반면에 종교·관습적 특성과 권위주의 정치체제로 인한 보수성이 공존한다.

환경적으로는 지리적 특성상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에 취약한 지역이며, 앞으로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100년이면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태국의 평균 기온은 1900년 대비 2.5~4.8도 상승하고, 해수면도 70㎝ 상승할 것이라는 ADB(Asia Development Bank)의 연구 결과도 있다.

동남아 4개국의 공통적 사회이슈는 ▲경제·교육 불평등 심화 ▲청년·여성 일자리 문제 ▲환경과 재난재해 ▲미래 국가발전을 위한 인재 육성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국가별로 보면 인도네시아의 주요 사회문제는 자카르타의 극심한 대기오염과 대규모 플랜테이션으로 인한 보루네오섬의 황폐화 등 환경이슈, 도시와 산간도서 지역 간의 극심한 교육격차, 청년 일자리 문제 등이다. 베트남은 경제발전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2030년에는 인구의 절반 도시에 거주하게 된다고 한다), 소득 격차에 따른 심각한 교육 격차, 환경오염 문제(세계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 환경오염으로 GDP 35% 축소할 전망이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필리핀은 태풍·홍수·지진 등 자연재해에 가장 취약한 국가다. 극심한 해양오염 또한 국가적 문제다. 태국은 특이하게도 이미 고령화, 저성장이 진행 중이다. 빈부의 격차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 이슈도 상존하고 있다.

최근 기업들은 동남아 국가들의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기업 R&C(Resource&Capability)를 활용해 현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홍보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는 등 사회공헌 활동을 통한 다양한 CSR 활동을 추진 중이다. 이어 다음 칼럼에서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업의 대표적인 동남아 CSR 프로젝트와 기업의 신남방국가 진출을 위한 CSR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최재호 현대자동차그룹 사회문화팀 책임매니저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