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4일(일)

[굿네이버스 30년] ④국제개발도 사회적경제로… 지역서 국가 단위로 확장

한국에서 시작된 토종 NGO 굿네이버스의 창립 30주년 기념 강연 ‘세상을 위한 좋은 변화, 30년의 발자취’가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이번 강연은 사회복지, 국제개발 분야 전문가 5명이 굿네이버스 30년사를 연구·분석한 주제 강연으로 채워진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강연에서 전문가들은 글로벌 NGO의 조직경영·국제개발사업·모금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내놨다.

[굿네이버스 30년 기념 강연]
① 우연은 없다… 창의와 도전의 역사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② 법제도 개선 앞장… 아동복지사업 방향성 제시
 ─안재진 가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③ 국제개발협력 거버넌스 구축으로 글로벌 경영 가속
 ─문경연 전북대 국제인문사회학부 교수

④ 국제개발도 사회적경제로… 지역서 국가 단위로 확장
 ─홍지영 경희대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교수

⑤ 기부금 30년새 1500배 성장시킨 ‘모금의 기술’
 ─강철희 연세대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16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굿네이버스 창립 30주년 기념 강연’에서 홍지영 경희대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교수가 국제개발사업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굿네이버스 제공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해 주인의식을 갖게 하고 자립을 돕는 사회적경제 사업은 지역단위 개발사업에서 국가 개발사업으로 확장하는 추세입니다. 아직 성패를 논하긴 어렵지만, 전통적인 소득 증대 사업에서 벗어나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해 지역사회 내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6일 굿네이버스 창립 30주년 기념 강연에서 홍지영 경희대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는 굿네이버스의 국제개발사업 성장 과정을 분석했다. 그는 굿네이버스 국제사업의 특징으로 ▲글로벌 NGO를 향한 명확한 목표와 전략 ▲사회적경제를 통한 자립에 집중 ▲전문성 강화 ▲포괄적 파트너십으로 국제사회 선도적 역할 수행 등을 꼽았다.

굿네이버스의 국제사업은 크게 ‘인도적지원’ ‘지역개발’ ‘사회적경제’ ‘정책옹호주창활동·네트워크’ 등 4개로 구분된다. 먼저 인도적지원은 초기 단순 긴급구호 사업으로 출발했다. 홍 교수는 “1990년대 초에는 소말리아와 르완다 난민 긴급구호활동으로 인도적지원 활동에 첫발을 뗐다”면서 “르완다 난민 구호활동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 8개국 14건의 인도적지원을 펼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창립 초기부터 국제구호개발사업의 주요 원칙을 만들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굿네이버스의 중요 특징이며 조직적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2000년대에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이 늘며 17개 국가에서 39건의 인도적지원을 진행했고 규모와 범주를 확장해 주거 확보, 보건위생 등 중장기 재건사업으로 확장해 나갔다”고 말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복합 위기가 만연해졌고, 인도적지원 전문성을 가진 단체가 필요했습니다. 굿네이버스는 인도적지원분야 민관협력사업의 대상 단체로 선정됐고 전문성을 갖춘 덕에 젠더, 심리사회적 지원, 자연재해 대응 등 섹터별 접근이 가능했습니다.”

굿네이버스는 국제기구와 협력도 확대했다. 홍 교수는 “긴급구호 역량을 인정받아 다양한 UNHCR, UNICEF 등 UN기구들 등 국제행위자들과 협력이 많아졌다”면서 “대표적으로 네팔 대지진 대응에서는 고르카 지역 보호 클러스터 리더 단체로 활동하며 굿네이버스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굿네이버스의 인도적지원은 국제 규범, 주요 아젠다에 시의적으로 대응하고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발분야 전반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강조했다.

홍지영 교수의 강연은 지역개발 사업으로 이어졌다. 굿네이버스의 지역개발 사업은 ▲선교사 등 네트워크를 통한 사업 ▲긴급구호 등 인도적지원사업에서 발전시킨 사업 등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홍 교수는 “굿네이버스의 강점은 도시 빈민을 구제하는 ‘가정개발’ 사업”이라며 “장기사업계획서, 연사업계획서 등을 바탕으로 중장기적 관점의 전략을 짰고, 사업 진행 도중에도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후속 사업을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속적인 지역개발사업 확장으로 분야별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전문 인력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훈련된 활동가 파견과 현지 직원 역량 강화를 병행했다”고 말했다.

“긴급구호 등 프로젝트형 사업에서 지역주민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업으로 방향을 전환한 점이 핵심입니다. 사업국 선정 전략과 가이드라인 수립, 주민참여적 사정기법(PAP)를 도입해 구성원으로부터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

사회적경제 사업 강화도 국제개발사업의 성장에 큰 몫을 했다. 홍 교수는 “굿네이버스는 사업 초기부터 주민들의 자립적인 생계유지를 위해 고민해왔다”며 “만성적인 저소득과 식량 문제 등을 사회적경제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굿네이버스의 사회적경제 사업은 대북지원사업 경험에서 출발했다. 홍 교수는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적경제 사업을 확대해나가며 단순 소득 증대 사업에서 벗어나 적정기술 사업 등을 보여줬다”며 “이는 굿네이버스의 터닝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그는 “조직적인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사회적기업 사업단을 설립하며 신규 사업 플랫폼을 마련했다”면서 “사회적경제 사업은 협동조합에서 금융지원, 사회적기업으로 발전해 나갔다”고 설명했다.

홍지영 교수는 굿네이버스의 네트워크와 글로벌 정책옹호 활동에 대해서도 주목할 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의 포괄적협의지위를 획득하면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주요 개발 담론에 참여하게 됐다”면서 “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코이카 자문위원회 등 다양한 위원회에 참여했고, 한국과 국제사회 정책 옹호 활동을 펼쳤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에서는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설립을 주도하고, SDGs 등 주요 국제개발협력 담론에 대응하는 시민사회 활동에 참여해왔다”면서 “이처럼 국제와 국내를 넘나들며 시민사회의 네크워크를 구축하고 연대활동을 이행해온 굿네이버스의 두드러지는 점은 ‘같이 가는 리더십'”이라고 설명했다.

굿네이버스의 핵심 정책옹호 의제는 인권, 아동, 난민과 인도적지원, 사회적경제다. 홍 교수는 “굿네이버스의 국제개발사업은 국제기구 파트너십과 네트워크가 핵심”이라며 “개발협력, 인도적지원, 다양한 UN 기관, 코로나19 글로벌 전략 수립 등 분야에서 네트워크를 만들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담론을 공유하고 있는데, 이는 개발 NGO 전체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한다”고 했다.

김지강 더나은미래 기자 river@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