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9일(금)

‘코리아 에이드’는 누구 아이디어?

한국형 개발 협력 모델로 시작된 ‘코리아에이드’에서 운행하는 조리 트럭 모습. / 외교부 개발협력과 제공
한국형 개발 협력 모델로 시작된 ‘코리아에이드’에서 운행하는 조리 트럭 모습. / 외교부 개발협력과 제공

[미래 TALK]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을 계기로 발표된 ‘코리아 에이드(Korea Aid)’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이는 에티오피아·우간다·케냐 3국에 보건(검진 차량 1, 앰뷸런스 2) 차량, 음식(조리 트럭 3, 냉장 트럭 1) 차량, 문화(영상 1) 차량, 지원 차량 2대 등 총 10대를 운영하는 ‘이동형 개발 협력 사업’입니다. 내과·산부인과·소아과를 중심으로 진료 및 검진 서비스(보건), 비빔밥 및 쌀 가공식품 제공(음식), K팝 뮤직비디오 등 한국 관광 영상 상영(문화)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지난달 30,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시작된 코리아 에이드는 내년 하반기까지 월 1회씩 10대의 차량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코리아 에이드를 향한 국제 개발 단체들의 비판이 거셉니다. “한국형 일회성 홍보 사업에 개발 협력 예산을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비빔밥, 앰뷸런스, K팝 영상보다 아프리카 주민들에게 정말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코리아 에이드는 대체 누구의 아이디어일까요. ‘더나은미래’ 취재 결과, 관련 부처 및 관계자들은 “BH(청와대)의 사인이 있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지난해 9월 유엔 개발정상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을 국제사회에 공약하면서, 청와대가 이를 구체화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 것이죠. 이를 위해 올해 1월부터 외교부·복지부·문화부·농림부 등 관련 부처들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사업을 기획하고, 3~4월엔 아프리카 3국 정부와 사업 의향서를 체결했습니다. 박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이 끝난 이후엔 코이카(KOICA)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이 사업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2017년 하반기까지 사업을 진행한 뒤 코리아 에이드 차량을 현지 기관에 인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급조된 아이디어가 아니란 점에서 오히려 고민이 부족했던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10년 넘게 아프리카 지역개발 사업을 진행해온 한 전문가는 “예전부터 앰뷸런스 지원 사업이 있었지만, 현지 인력이 차량 및 부품 정비를 못 해 그대로 방치된 경우가 많았다”면서 “2017년 이후엔 과연 현지에서 한식 재료를 구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되기까지 50여년이란 긴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개도국 현장에서 활동하는 국제개발단체들이 10, 20년 후 장기플랜을 세우고 출구전략(Exit Plan)을 고민하는 이유입니다. 국제개발 NGO 관계자는 “2011년 이후 국제사회에서 ‘원조’란 개념과 방향성은 사라진 지 오래”라면서 “이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인데 ‘코리아 에이드’의 내용 자체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반 트럭을 개조한 코리아에이드의 차종을 지적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현지 사정에 밝은 기업 사회공헌 관계자들은 “비포장도로가 대부분인 아프리카에선 사륜구동 차량이 아니면 사고도 잦고, 전복 위험이 크다”면서 “특히 구급차의 경우 기존 현지 주민들이 차량을 인수해 계속 사용해도 괜찮을지 걱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코리아 에이드의 올 하반기 예산은 20만달러( 203000만원)에 달합니다. 차라리 그 돈을 보건 인력 양성이나 영양식 개발 및 보급에 사용하는 것이 더 지속 가능한 개발이 아니냔 지적도 있습니다. 실제로 기자가 지난 5년간 개도국 개발 현장을 취재할 때마다 병원 등 건물들이 텅텅 비어 있거나, 한국 장비를 수리하지 못해 방치해놓는 경우를 쉽게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최소 5년 이상의 예산 지원과 로드맵이 없인 일회성 이벤트로 끝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에 청와대와 외교부는 억울하단 입장입니다. “처음부터 지속 가능한 사업을 고민했다”는 것입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음식 메뉴는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를 거쳐 한식뿐만 아니라 옥수수빵 등 현지식도 포함시켰고, 현장에선 오히려 비빔밥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이 뜨거웠다”면서 “보건소에 가지 못하는 주민들에게 이동 차량은 편리한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올해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투입되는 돈은 24000억원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개도국 발전을 위해 부담하는 세금입니다. 현지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사업에 사용해달라는 시민들과 국제개발 전문가들의 애정 어린 제언이 코리아 에이드에 반영되길, 그래서 5년 후 10년 후에도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거듭나길 지켜보려 합니다.

정유진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