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6일(금)

“전국 누벼요… 생계 곤란으로 접었던 꿈 싣고”

현대자동차그룹 기프트카 캠페인

“열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대학 진학을 포기했습니다. 생계 곤란으로 군대까지 면제받을 만큼 힘든 나날이었죠. 그러다 2009년 우연히 잡아본 카메라에 온 마음을 빼앗겼습니다. 처음으로 ‘꿈’이라는 것이 생겼어요. 독학과 시급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영화감독이 되겠다는 목표 하나로 달려왔습니다.”

김종성(34) ‘파스텔글리프’ 대표의 꿈은 곧 현실이 된다. 올여름 론칭을 앞두고 있는 웹드라마(Web Drama·인터넷을 통해 연재되는 드라마) ‘매칭 소년 양궁부’의 메가폰을 잡기 때문이다. 영상 프로덕션 ‘파스텔글리프’를 창업한 지 3년 만의 일이다.

현대자동차_현대차_사진_기프트카_김종성_파스텔글리프_2016 
2012년, 김 대표가 창업에 도전한 건 현대자동차그룹 사회공헌 프로그램 ‘기프트카 캠페인’ 시즌3의 주인공으로 선발된 덕분이다. 촬영용 밴(Van)과 창업 자금 500만원까지 지원받았다. 김 대표는 “기프트카를 통해 경영자로서 갖춰야 할 마인드 등 정신적인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면서 “창업은 내가 업계에서 ‘스펙’이 아닌 ‘능력’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던 기회”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한 해 창업 인구는 약 100만명. 이 중 40.2%가 1년 안에 문을 닫는다(중소기업연구원, 2016). 그런데 창업자의 86.6%가 1년 이상 사업을 지속하고, 연평균 가구소득도 증가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있다. 2010년 시작해 올해 시즌6을 맞은 ‘기프트카 캠페인’이 그 주인공. 창업을 꿈꾸는 저소득층에게 자동차와 창업 자금(최대 500만원)을 지원한다. 창업자들은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창업 교육(2박 3일), 현장 방문 컨설팅 지원 등이야말로 기프트카의 숨은 경쟁력”이라고 입을 모은다. ‘반짝 지원’에 그친 후 창업 이후 나 몰라라 하는 프로그램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 현대차그룹과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이 기프트카 주인공(시즌2~5) 106명을 조사해보니 가구소득이 캠페인 이전과 비교해 1042만원(66.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프트카는 2014년부터 북한 이탈 주민까지 대상을 확대, 현재까지 총 9명에게 창업용 차량을 제공했다. 윤선희(51) 선희식품 대표도 이 중 한 명이다. 윤 대표는 2013년,’어딤채'(젓갈 대신 생선살을 넣어 시원한 맛이 일품인 북한식 김치)를 담가 소비자 가정에 배달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5년 정도 음식점에서 일하다 창업 이야기를 꺼냈을 때 아들이 많이 말렸어요. 월급도 나쁘지 않고 나름 자리도 잡혔을 때니까요. 하지만 ‘맛있는 김치로 남북을 잇는 가교가 되고 싶다’는 엄마의 꿈을 끝내 꺾을 수는 없었죠.”

하지만 이 도전은 잇따른 난관에 부딪혔다. 영업 노하우도, 마케팅 기술도 없었던 선희식품에 유일한 광고 수단은 발품뿐이었다. 택배 비용 역시 만만치 않았다. 위태위태하게 사업을 이어가던 윤 대표에게 남북하나재단 직원이 기프트카 캠페인을 추천했고, 기프트카 시즌5의 주인공에 뽑혔다.

5C9A4849
윤선희(왼쪽) 선희식품 대표와 아들이 기프트카 캠페인을 통해 지급받은 차량 앞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기프트카로 1톤짜리 포터 냉장탑차를 지원받은 후 소비자에게 하루 만에 신선한 김치를 배달하게 됐어요. 질 좋은 재료를 사러 전국을 누빌 수도 있고요. 1년 동안 경영 컨설팅도 받았죠. ‘창업자의 뚜렷한 목표를 소비자가 볼 수 있게 해라’ ‘항상 새로운 채널을 공부해라’ 등 지금도 그때 수첩에 적어둔 메모를 보며 마음을 다잡습니다. 지금은 알음알음 전화 주문을 받지만, 올해 안에 온라인 판매 사이트도 열 예정입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이달까지 49명의 주인공을 대상으로 기프트카 시즌6 캠페인을 마무리하고, 시즌7 준비에 돌입한다. 어호선 현대차그룹 사회문화팀 과장은 “시즌7에서는 약 40명의 저소득층 창업자를 응원한다”고 전하는 한편 “시즌5부터 병행해온 셰어링 캠페인(여덟 가지 테마에 맞는 이벤트를 기획해 제출하면 심사를 통해 승합차를 빌려주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외에도 새로운 사회공헌 캠페인을 함께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