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금)

[공변이 사는 法] “가족마저 등 돌린 ‘성 소수 청소년’의 든든한 ‘백’ 될래요”

[공변이 사는 法] 송지은 변호사


작년 방문·전화 상담 400건
메신저 대화 셀 수 없이 많아
사회에선 혐오에 내몰리고
쉼터 입소마저 거부당하기도

마음 상처 다독이는 게 우선
청소년 제도 개정 힘 쏟을 것

송지은 변호사는 “수많은 성 소수 청소년에게 든든한 ‘비빌 언덕’이 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장은주 C영상미디어 객원기자

약속 장소는 평범한 건물 앞이었다. 인터뷰이에게 전화를 걸어 어딘지 묻자 골목 안 사무실 주소를 알려줬다. 주소는 비공개. 간판도 없었다. 예약해야 방문할 수 있는 공간. 국내 유일의 청소년 성 소수자 위기 지원센터 ‘띵동’이다. 지난 17일 이곳에서 만난 송지은(33) 변호사는 청소년들의 법률 조력자이자 상담 지원팀장이다. 그는 “띵동은 청소년 성 소수자의 쉼터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며 “방문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주소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했다.

띵동의 문을 두드리는 청소년은 끊이지 않는다. 지난해에만 400건 넘는 방문·전화 상담이 이뤄졌다. 온라인 메신저로 주고받는 상담 건수는 셀 수 없을 정도다. “가정 폭력이 생각보다 많아요. 부모가 자녀의 성 정체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주로 발생해요. 대부분의 부모는 ‘네가 잘 몰라서 그런다’ ‘병원에 가보자’고 해요. 휴대전화를 빼앗거나 외출을 금지하기도 하죠. 폭언과 폭력에 시달리는 아이도 많아요. 학교나 사회에서 겪는 차별과 혐오도 견디기 어려운데, 믿고 사랑하는 가족마저 등을 돌리니 고통이 더 크죠.”

문제는 법적 대응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피해를 당해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송 변호사는 “성 소수자라는 이유로 부모에게 폭행당해도 주변에 알리거나 경찰에 신고하려는 학생은 없다”며 “대부분 자기 자신을 탓하고 가족과 겪는 갈등을 털고 싶어 하기 때문에 참고 견딘다”고 했다.

사회적 냉대나 부모의 강압을 이겨내지 못한 아이들은 집을 떠나 청소년 쉼터로 간다. 하지만 쉼터에서조차 성 소수자라는 이유로 입소를 거부당하는 일이 많다. 대부분이 남성·여성 전용 쉼터를 따로 운영하고 있고, 여럿이 한방을 쓰기 때문이다. 송 변호사는 “직접 청소년 쉼터를 찾아가 인권 교육을 하고 있다”면서 “성 감수성이 부족한 청소년 쉼터 종사자들을 교육하고, 명확한 지침이 없어서 생기는 혼란을 해소하는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장은주 C영상미디어 객원기자

청소년 성 소수자들을 대상으로 ‘아우팅 협박 대응법’ ‘혐오 표현으로 인한 피해 구제 신청법’ 등 위기 대응 수칙을 만들어 보급하기도 했다. “피해 청소년 대부분은 ‘이 세상에 내편은 없다’고 생각해요. 속 깊은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없으니까 단호하게 대처하는 방법도 잘 모르죠. 그래서 우울증을 앓는 학생도 많아요. 무조건 법적 절차를 밟으라고 권하진 않습니다. 그보다는 청소년들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다독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쏟아요.”

진로 상담도 잦은 편이다. 다만 고민 지점이 여느 학생들과는 조금 다르다. “여고를 다니던 한 학생이 갑자기 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를 보겠다는 거예요. 성인이 되면 성별을 정정해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꿀 계획인데, ‘여고 졸업’ 이력이 남으면 취업할 때 불이익을 당할 것 같다고 걱정하더라고요. 긴 상담 끝에 자퇴를 결심했고, 지금은 대입 준비를 하고 있어요. 보통 고등학생들이 하는 진로 고민과는 아예 결이 다르죠.”

띵동에서 근무한 지 햇수로 4년째. 지난해 여름 공익 변호사 자립 지원 사업이 끝나면 다른 일을 찾으려 했지만, 한 학생의 말에 눌러앉기로 했다. “한번은 집회에 나가는 친구에게 몸조심하라고 했더니 ‘지은 쌤이 변호사니까 저 구해주세요’라고 해요. 그 말이 자꾸 마음에 남았어요. 누군가의 든든한 ‘백’이 돼줘야겠다 생각했죠.”

개인적인 목표도 생겼다. “거창하게 뭔가 바꿀 생각을 원래 잘하는 편이 아니에요. 다만 청소년들에게 적용되는 자잘한 제도를 손보고 싶어요. 예를 들어 교육부 지침에 학내 성 소수자를 위한 항목을 만드는 식이죠. 작은 것부터 하나씩 바꾸다 보면 세상이 조금은 나아지지 않을까요.”

 

[문일요 더나은미래 기자 ilyo@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